본문 바로가기
한약재효능

길경의 효능(성분)과 부작용 등 총정리

by 약블 2024. 2. 8.
반응형

출처 : 미리캔버스
출처 : 미리캔버스

길경

길경은 흔히 도라지라고 불리는 약재입니다.

 

01 기원


도라지 Platycodon grandiflorum A. De Candolle (초롱꽃과 Campanulaceae)의 뿌리로서 그대로 또는 주피를 제거한 것이다.


02 성상


긴 방추형 또는 원뿔모양이며 때로 가지가 갈리기도 한다. 원뿌리는 길이 10 ~ 15 cm, 지름 1 ~ 3 cm이다. 바깥면은 회갈색, 연한 갈색 또는 흰색이고, 위쪽 끝에는 줄기를 제거한 자국이 오목하게 남아 있으며, 그 부근에는 가는 가로주름과 세로 홈이 있다. 근두부를 제외한 뿌리의 대부분에는 거친 세로주름과 가로 홈이 있고 껍질눈 모양의 가로줄이 있다. 질은 단단하나 꺾기 쉽다. 횡단면은 섬유성이 아니며, 피부는 목부보다 약간 얇고 거의 흰색이며 군데군데 빈틈이 있고, 형성층 부근은 갈색을 띤다. 목부는 흰색 ~ 연한 갈색이고 조직은 피부보다 약간 치밀하다. 횡단면을 현미경으로 볼 때 코르크층은 황갈색지만 대부분은 이미 제거되어 있다. 사부는 넓고 바깥쪽의 사부수선은 구부러졌으며 사관 무리는 대부분 눌려 서 퇴폐되어 있다. 유관은 무리를 이루어 흩어져 있고 그 안에는 황갈색의 과립상 물질이 들어 있다. 안쪽의 사 부 중에는 유관무리가 사관과 동반하여 배열하고 있다. 형성층은 고리를 이루고 목부는 수선이 넓고 도관은 다각형이며 한 개 또는 여러 개가 모여서 방사상으로 배열하고 있다. 특유한 냄새가 약간 있으며 맛은 처음에는 담담하고 후에는 아리고 쓰다.


03 성분

 

Saponin 약 2%

platycodigenin을 aglycone으로 하는 platycodin A, C, D, D2, D3, platycodigenic acid
A1 ~ A5, C, platyconic acid, polygalacic acid, polygalacin D, D2, platycodigenin, platycodigen-3-O-ß-D-glucopyranoside 등

Lupane 계 triterpenoid

betulin

Phytosterol

α-spinasterol, α-spinasterol glucoside

기타

inulin, apiose (d-form), platyconin 등


04 효능 및 약리작용

 

(1) 거담(가래를 없애는) 작용

• 위점막을 자극하고 기관지분비를 촉진하며 거담작용을 나타낸다. 마취한 개에 전제를 투여하면 기관지의 점액분비량이 현저히 증가하는데 이 작용은 NH4CI과 동등하다.

(2) 진통작용

• platycodin D를 척수에 투여하면 통증에 대한 감수성이 현저하게 낮아진다. 여기에는 GABAA,
GABAB, NMDA (N-Methyl-D-aspartic acid)와 non-NMDA 수용체가 관여한다.

(3) 항당뇨작용

• 제2형 당뇨 유발쥐에 길경 saponin을 처리하면 포도당(glucose) 항상성이 향상된다.
• 지방세포 (3T3-L1)에 platyconic acid를 처리하면 인슐린에 의해 유발되는 포도당(glucose0의 흡수가 증가한다.

(4) 항지방간작용

• alcohol을 주입한 쥐에 길경을 투여하면 간에서의 지방산합성과 관련한 단백질인 L-FABP의 발현과 cytochrome P450 2Edp1 (CYP2E1)의 활성이 정상화된다(in vivo).

(5) 기타

• 알코올추출물에는 혈당강하작용, 간장 내의 콜레스테롤 함량저하, 말초혈관확장작용, 용혈작용, 항궤양작용이 있다. 조 platycodin 분획의 독성은 경구투여 시에는 아주 약하며, 용혈, 국소자극작용이 있다.
• platycodin D가 췌장의 소화효소분비를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platycodin D의 당부분이 필수적이다.
항염증작용 : platycodin D는 TPA로 protein kinase C를 활성화시킨 복막대식세포(rat)의 prostaglandin E2 합성을 억제한다. 이 경우, COX-2의 발현이 감소하나 platycodin D가 COX-1과 COX-2의 활성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지는 않는다(in vitro).
• 길경이 주약으로 처방된 감길탕은 인후염에 효과가 있다.
• MeOH 추출물을 투여하면 alcohol에 의해 증가된 AST가 정상화되며, alcohol에 의해 증가되는 cytochrome P450 2E1이 감소한다 (in vivo).
항산화작용 : 길경의 Saponin 성분은 지질과산화를 억제한다(in vivo).
암세포독성 : 길경의 saponin 성분은 대장암세포의 증식을 억제하고 세포사멸을 일으킨다 (in vitro).
• 길경을 오랜 기간 섭취하면 비만과 인슐린 저항성을 개선하는데 효과가 있다 (in vitro, in vivo).
신경보호작용 : platycodin A는 glutamate에 의한 세포독성을 억제한다(in vitro).


05 주의사항 및 부작용


오래 기침을 한 경우 그리고 각혈(혈액이나 혈액이 섞인 가래를 토함)이 있는 경우에는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다.







참고문헌
1) Takagi K, Lee EB (1 972) Yakugaku Zasshi 92 : 961-968
2) Choi SS et al. (2002) Planta 68: 794-798
3) Kwon DY et al. (2012) Eur. J. Nutr. 51: 529-540
4) Kim HK et al. (2007) Biosci Biotechnol. 71: 1550-1552
5) Kawashima K et al. (1972) Chem. Pharm. Bull. 20: 755-758
6) Kato H et al. (1973) Jpn. J. Pharmacol. 23: 709-716
7) Yamauchi K et al.(1992) 138-143, Hirokawa Pub. Co. Japan
8) 1da Y et al. (1 998) Bioorg. Med. Chem. Lett. 8: 2209-2212
9) Kim YP et al. (2001) Planta Med. 67: 362-364
10) An JH et al. (2009) J. Med. Food. 12: 1190-1198
11) Fu XJ et al. (2009) Am. J. Chin. Med. 37: 967-975
12) Kim JY et al. (2008) Food Chem. Toxicol. 46: 3753-3758
13) Lee CE et al. (2012) Complement. Alternat. Med. 2012: 759143
14) Han S et al. (2011) Nutr. Res. Pract. 5: 198-204
15) Son 1H et al. (2007) Molecules 12: 1147-1152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