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효능

시호의 효능 :: 시호뿌리 효능ㅣ시호뿌리 성분ㅣ시호 성분ㅣ시호 약리작용ㅣ시호 부작용

by 약블 2024. 1. 31.
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오늘은 시호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그럼 아래에서 시호의 기원, 시호의 성상, 시호의 성분, 시호의 약리작용과 효능, 시호의 금기사항이나 부작용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01 시호의 기원


시호 Bupleurum falcatum L. 또는 그 변종(미나리과 Umbelliferae)의 뿌리이다. 중국에서는 시호 B. chinense DC., 협엽시호 B. scorzonerifolium Willd.의 뿌리를 쓴다. 건조한 것을 정량할 때 saikosaponin a로서 0.3% 이상을 함유한다.


02 시호의 성상


가늘고 긴 원뿔모양 ~ 원기둥모양이며 단일 또는 갈라져 있고 길이 10 ~ 20 cm, 지름 5 ~ 15 mm이다. 윗부분은 굵으며 아랫부분은 가늘고 근두부에는 줄기 및 가는 털 모양의 잎그루가 때로 남아 있다. 바깥면은 연한 갈색 ~ 갈색이며 깊은 주름이 있는 것도 있다. 쉽게 꺾이며 꺾인 면은 약간 섬유성이다. 횡단면을 현미경으로 볼 때 피부의 두께는 반지름의 1/3 ~ 1/2이고 피부에는 때로 접선방향으로 길게 발달된 빈틈이 있으며, 지름 15 ~ 35 um의 포간성 이생유도가 많이 흩어져 있다. 목부에는 도관이 방사상 또는 계단상으로 배열되고 곳곳에 섬유군이 있다. 근두부의 수에는 피부에서와 같은 유도가 있다. 유세포 속에는 전분립 및 기름방울을 볼 수 있다. 특유한 냄새가 있고 맛은 약간 쓰다.


03 시호의 성분

Saponin

saikosaponin a, b, c, d, e, f, g 및 그의 genin

Triterpenoid

olean-11,13 (18)-diene-3β,16β,23,28-tetraol 등

Sterol

Δ7-stigmasterol, α-spinasterol, Δ7,Δ22-stigmasterol, stigmasterol, adonitol 등

Flavonoid

6-C-galactosyl-4',5,7,8-tetrahydroxyflavone, 6-C-glucosyl-4',5,7,8-tetrahydroxyflavone

Polyacetylene

saikodiyne A ~ C, 2Z,9Z-pentadecadiene-4-diyn-l-ol 등

Phenolic glycoside

icariside D1, F2, zizybeoside 1, phenylethyl alcohol 8-O-ß-D-glucopyranosyl-(1 → 6)-β-D-glucopyranoside, 8-O-ß-D-glucopyranosyl-(1 → 2)-β-D-glucopyranoside 등

Polysaccharide

bupleuran 21llb, polysaccharide B

기타

(-)-anomalin, angelicin 등


04 시호의 약리작용

(1) 해열, 진통, 항경련작용

• 물추출물은 온자법이나 균류에서 얻은 복합다당질로 발열시킨 실험동물에 대해서 해열작용을 나타낸다 (in vivo, rabbit, p.o.). 이러한 효과는 발열중추를 억제함으로써 나타난다. MeOH 추출물에는 항경련작용이 있어 sodium valproate로 유도한 골격근의 변화, 경직 변화 및 변이를 예방한다 (in vivo, rat).

(2) 간세포보호작용

• 물추출물 및 MeOH추출물은 면역성 간독성으로부터 간세포를 보호하며, CCl4로 유도한 간독성에 의한 GPT 상승을 억제한다(in vivo).
• saikosapoinin류를 CCl4로 간경화를 유발시킨 실험동물에 투여하면 간의 triglyceride(중성지방)의 축적이 감소되어 간조직의 손상이 줄어든다(in vitro, rat). 또한, B. scorzoneifolium으로부터 분리된 bupleuroside III과 VI, IX, XIII는 D-galactosamine에 의한 세포독성으로부터 간세포를 보호한다(in vitro, rat hepatocyte).

(3) 항균• 항바이러스• 항말라리아작용

• 물추출물은 유행성 감기, 말라리아, 생리불순의 치료에 유용하다 (in vivo).

(4) 항염증• 궤양작용

• saikosaponin a와 d에는 강한 항염증작용이 있다(in vivo, in vitro).
• MeOH 추출물은 부신피질로부터 corticosterone의 합성이나 유리를 증가시켜 항신장염 효과를 갖 는다. 이 외에도 단백뇨 현상을 억제하며, 방사능에 의한 피부손상을 억제한다 (in vivo, rat).
• 산성다당류인 bupleuran 2IIb는 세포 내 Ca2+ 함량을 증가시키며, 대식세포의 활성을 증가시킨다.
bupleuran 2lIc는 산과 펩신에 의한 궤양 생성을 억제하며 보호막을 만들어 주고, 라디칼을 제거하는 등의 항궤양활성을 보인다(in vitro).

(5) 면역증강작용

• saikosaponin d는 dexamethasone의 육아종(granuloma) 생성 억제작용을 증강시킨다 (in vivo, rat).
• 분자량이 큰 polyphenolic 성분과 다당류는 B 세포(설치류)의 분열을 활성화시키고 RAW 264.7
cell에서의 NO 생성을 억제한다 (in vitro).
• acidic pectic polysaccharide인 bupleuran 2IIb는 Fc 수용체의 발현을 증가시킴으로써 glucose oxidase-anti-glucose oxidase complex (GAG)가 대식세포에 더 많이 결합하도록 한다(in vitro).
• MeOH 추출물은 설치류의 비장세포의 interferon 생성을 촉진시킨다.

(6) 기타

• saikosaponin a, d 등은 가열추출과정에서 항염• 해열활성을 갖는 b1과 b2로 변화되어 그 효과가 증대된다.
• saponin 분획의 중추억제[강한 진통 (Saikosaponin b와 c)], 진정, 항염증, 해열, 이뇨, 궤양, 항단백합성촉진, 간에서의 glycogen 증가, 콜레스테롤 저하 작용이 인정된다.
암세포독성 : saikosaponin a와 d, e는 고형암세포의 세포접착성을 떨어뜨린다. α-hydroxy group을 가진 saikosaponin a보다 C-16에 β-hydroxy group을 가진 saikosaponin d의 활성이 크다 (in vitro).
• saikosaponin d는 aminonucleoside nephrosis에 의한 단백뇨(proteinuria) 증상에 유효하다(in vivo, rat).
• MeOH 추출물은 동물모델에서 항우울 효능을 가지며, 스트레스로 인한 기억손상과 인지기능을 개선시킨다 (in vivo, rat).
• EtOH 추출물은 동물모델에서 척수손상에 의한 염증에 대하여 억제작용을 나타낸다 (in vivo, rat).
• saikosaponin d는 동물모델에서 diethylinitrosamine에 의한 간암을 예방할 수 있다 (in vivo, rat).
• saikosaponin d는 쥐의 leukemia-2H3 세포에서 항알러지 효능을 갖는다 (in vitro).
• 물 추출물은 동물모델에서 항산화 효능갑상선 항진 개선 효능을 갖는다(in vivo, rat).
• saikosaponin a는 동물모델에서 morphine에 의한 이상행동을 억제한다(in Vivo, rat).


05 시호의 부작용과 금기사항


대엽시호의 근경을 말린 것에는 독성이 있으므로 사용해서는 안 된다.





참고문헌
Kumazawa N et al. (1990) Yakugaku Zasshi 110: 950-957
Matsuda H et al. (1997) Bioorg. Med. Chem. Lett. 7: 2193-2198
Kok LD et al. (1995) Immunophatmacology 30: 79-87
Wong VK et al. (2009) 1. Cell Biochem. 107: 303-315
Han NR et al. (2011) Biol Pharm Bull. 34: 817-823
Hattori T et al. (1989) Jpn. 1. Phmmacol. 50: 477-485
Hattori T et al. (1989) Jpn. 1. Phatmacol. 51: 117-124
Sato Y et al. (1989) Yakugaku Zasshi 109: 113 - 118
Abe H et al. (1982) Nippon Yakurigaku Zasshi 80: 155-161
Izumi S et al. (1997) Bio1. Pharm. Bul1. 20: 759-764
Oka H et al. (1995) Bio1. PhanTI. Bul1. 18: 757-765
Matsumoto T et a/. (1993) Int. 1. Immunopharmaco1. 15: 683-693
Matsuura K et al. (1993) Int. 1. Immunopharmacol. 15: 237-243
Ahn BZ et al. (1998) Planta Med. 64: 220-224
Abe H et af. (1986) Eur. 1. Pharmacol. 120: 171-178
Kwon S et al. 0) Prog. Biol. Psychiatry 34: 265-270
Lee B et al. (2009) Biol. Pharm. Bull. 32: 1392-1398
Lee lY et al. (2010) Exp. Neurobiol. 19: 146-154
Lu XL et al. (2012) Mol. Med. Report 5: 637-644
Hao Y et al. (2012) Int. ImmunophanTIacol. 13: 257-263
Kim SM et a/. (2012) Evid. Based Complement. Altemat. Med. 578497

728x9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