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효능

부자의 효능 :: 염부자, 제부자, 흑순편, 백부편, 포부자ㅣ부자의 성분ㅣ부자 약리작용ㅣ부자 부작용

by 약블 2024. 1. 24.
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오늘은 부자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부자는 제법에 따라 염부자, 제부자, 백부편, 포부자, 염부자로 불리는데 어떠한 제법인지 아래에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부자의 기원, 부자의 제법, 부자의 성상, 부자의 성분, 부자의 약리작용과 효능, 부자의 부작용과 금기사항 순서대로 알아보겠습니다.


01 부자의 기원


오두 Aconitum carmichaeli Debeaux (미나리아재비과 Ranuneulaceae)의 자근이다.


참고> 부자의 제법

염부자(鹽附子)

6 ~ 8월 사이에 채굴하여 모근, 잔뿌리 및 도시를 제거한 것을 이부자라 하는데 크기가 고른 이부자를 골라 물로 씻고 식용 간수 중에 하룻밤을 담가 둔다. 다음 날 여기에 소금을 더 가하여 담갔다가 이를 꺼내어 햇볕에 말린 다음 다시 담가둔다. 이 조작을 반복하고 동시에 햇볕에 말리는 시간을 점차 연장시켜 약의 표면에 소금이 다량 석출되고 질이 단단하게 변하면 중단한다. 이것을 염부자라 한다.

제부자(製附子),흑순편(黑順片)

크기가 고른 이부자를 취하여 물로 잘 씻고 식용간수 중에 며칠 동안 담가 두었다가 침액과 함께 속까지 익을 때까지 삶는다. 이를 꺼내고 소금기가 없어질 때까지 여러번 물로 우려낸 후 두께가 약 5mm가 되도록 세로로 자르다. 이를 다시 물에 담가 우려내고 캐러멜 같은 조색액에 담가 친한 차색이 되면 꺼낸 다음 바깥 면이 윤기가 날 때까지 찐다. 이를 꺼내고 반 정도 마를 때까지 홍건한 다음 다시 햇볕에 말리거나 홍건한다. 이것을 흑순편이라 한다.

제부자(製附子), 백부편(白附片)

크기가 고른 이부자를 취하여 물로 잘 씻고 식용간수 중에 며칠 동안 담가 두었다가 침액과 함께 속까지 익을 때까지 삶는다. 이를 꺼내고 겉껍질을 벗긴 다음 두께가 약 3mm가 되도록 세로로 자른다. 물로 우린 다음 이를 꺼내고 속까지 익도록 찐다. 이를 햇볕에서 반 정도 마르게 하고 유황으로 훈중한 다음 햇볕에 말린다. 이것을 백부편이라 한다.

포부자(炮附子)

염부자를 취하여 물에 담근다. 매일 2 ~ 3차례 물을 갈아주어 염분이 완전히 제거되었을 때 감초 및 검정콩과 더불어 속이 익을 때까지 삶고 쪼개어 맛을 보았을 때 혀를 마비시키지 않을 때에 이르러 꺼내어 거피를 하고 박편을 만들거나 2 ~ 3 절하여 햇볕에 말린다. 이것을 포부자라 한다.







02 부자의 성상


염부자(鹽附子)

원추형을 이루고 길이 4 ~ 7 cm, 지름 3 ~ 5 cm이고 바깥 면은 회흑색이고 염분의 결정으로 덮여 있다. 위 정단에 오목한 싹이 있었던 흔적이 있고 주위에 후 모양 돌출 또는 자근이 불었던 흔적이 있고 질은 무겁고 단단하다. 횡단면은 회갈색이고 염분결정으로 가득 찬 세포 간극과 다각형을 이룬 형성층의 환문을 볼 수 있다. 환문 안 쪽에는 배열이 고르지 않은 도관들이 있다. 특이한 냄새가 있고 맛은 짜며 혀를 찌르며 마비시킨다.

제부자(製附子), 흑순편(黑順片)

대체로 세로로 잘라져 있기 때문에 위쪽은 넓고 아래는 좁다. 길이 17 ~ 50 mm, 너비 9 ~ 30 mm, 두께 2 ~ 5 mm이고 외피는 흑갈색이고 절단면은 어두운 황색으로 윤기가 나는 광택이 있으며 세로로 도관이 있다. 질은 단단하며 부서지기 쉽고 꺾인 면은 각질과 같다. 냄새는 거의 없고 맛은 담담하다.

제부자(製附子), 백부편(白附片)

황백색으로 반투명이고 두께는 약 3mm이다.

포부자(炮附子)

고르지 않은 모양과 크기의 두께 3 ~ 5mm의 절편 또는 세로로 2 ~ 3절된 것으로 바깥 면은 엷은 갈색 ~ 흑갈색 또는 흑색이다. 질은 각질 반투명이고 약간의 광택이 있다.


03 부자의 성분

Diterpene alkaloid 약 0.5%

식물의 종류, 산지에 따라서 alkaloid의 종류, 함량이 다른 경우가 많다.

aconitine계 (맹독성)

aconitine, hypaconitine, mesaconitine, jesaconitine 등

atisine계 (저독성)

atisine, kobusine, ignavine, songorine 등

기타

higenamine (강심 성분), coryneine (강심 및 혈압상승 성분), yokonoside 등


04 부자의 약리작용과 효능


부자에 함유된 alkaloid의 주된 작용은 1차적으로 뇌간 및 말초신경 말단부를 흥분시킨 후에 마비시키는 것이다. alkaloid의 종류와 용량에 따라 다음과 같은 다양한 효과가 나타난다.

(1) 강심작용

• diterpene alkaloid가 아닌 higenamine은 심장 박동수와 관상동맥의 순환을 증가시킨다 (in vivo, dog).
• higenamine은 심부전에 효과가 있으며, 그 효과는 β-수용체 작동약의 작용과 유사하다.
• higenamine은 10 억분의 1 농도에서, coryneine은 100만분의 1 농도에서 강심작용을 나타낸다.
• aconitine 중독은 높은 심장 효소를 야기하고 가슴통증을 유발하는 등 심근경색증과 비슷한 증상을 나타낸다 (case report).

(2) 진통작용

• 법제한 부자는 대뇌피질의 norepinephrine 농도를 낮추고, 수질의 serotonin 농도를 높임으로써 진 통작용을 나타낸다 (in vivo, rat).
• aconitine류의 진통효과는 mesaconitine > aconitine > hypaconitine순이며, 그 외 lappaconitine, N-deacetyllappaconitine, N-deacetylranaconitine과 N-deacetylfinaconitine도 진통작용을 나타낸다 (in vivo, mouse, i.p.).

(3) 항염증작용

• aconitine류 (mesaconitine, 3-acelylaconitine)와 ignavine은 여러 가지 동물실험 모델에서의 염증반응을 억제한다(paw edema-rat, ear edema-mouse 등).

(4) 기타

• mesaconitine은 간조직 단백질의 합성을 촉진한다(in vivo, mouse).
• glycan인 aconitan A는 인슐린 농도나 인슐린과 수용체간의 결합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고, 간에서 의 phosphofructokinase의 활성을 증가시켜 혈당강하작용을 나타낸다. aconitan B, C, D에도 혈당강하작용이 있다 (in vivo, normal mouse).


05 부자의 주의사항 및 부작용


급성독성 (LD50, mg/kg, mousc, i.v.), aconitine (0.22), mesaconitine (0.27), beiwutine (0.42), hypaconitine (0.50), 3-acetylaconitine (1.01), deoxyaconitine (1.90)
aconitine 중독에 의한 사망 원인은 심장방실결절(A. V. node)의 심계동소실에 의한 심한 부정맥으로, 뇌나 신체 각 기관에 도달하는 혈액량이 부족하게 되므로 심장이 짓눌리는 느낌 또는 의식이 희미해지거나 어지러움을 느끼다가 중독 후 24시간 이내에 사망한다. 부정맥을 일으키는 작용은 beiwutine > mesaconitine > aconitine > 3-acctylaconitine > hypaconitine > deoxyaconitine의 순으로 강하다 (in vivo, rat).
중독 증상은 주로 신경계에 일어나며 초기에는 흥분시키나 곧이어 미주신경과 감각신경을 억제한다 (혀끝 마비). 또한 전신마비, 구토, 오심, 현기증, 떨림, 정신착란, 부정맥, 혼수 등의 증상을 나타낸다. aconitine 중독에 의한 호흡억제(rabbit) 와 심실세동(guinea pig) 은 염화칼슘용액을 정맥주사하면 호전될 수 있다.
법제 과정에서 독성 성분인 aconilineo benzoylaconine과 aconine으로 가수분해된다. aconine의 독성은 aconitine의 1/2000 ~ 1/4000이다. 생강이나 감초, 원지, 황기, 검은콩과 함께 달이면 부자의 총 알칼로이드 함량이 감소하므로 그 독성이 감소된다.
복용 후 목욕과 따뜻한 장소, 음주는 피하는 것이 좋다(aconitine의 독성이 세어질 수 있다).









참고문헌
1) Lui WH et al. (1998) Acta Pharm. Sin. 23: 81-85
2) Han HW et al. (1988) Acta Pharm. Sin. 2: 111-114
3) Lin CC et al. (2011) Hum Exp Toticol. 30: 782-785
4) Ikeda Y et al. (1994) Acta. Anaesthesiol. Belg. 45: 113-118
5) Shi H et al. (1990) Zhongguo Zhong Yao Za Zhi 15: 174-177 6) Hikino H et al. (1983) 1. Ethnopharmacol. 7: 277-286
7) Hikino H et al. (1989) 1. Ethnopharmacol. 25: 295-304
8) Konno C et al. (1985) Planta Med. 160-161
9) Chan TY et al. (1994) Vet. Hum. Toxicol. 36: 452-455

728x9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