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효능

작약의 효능 :: 작약성분ㅣ작약추출물 효능ㅣ작약 부작용ㅣ주의사항

by 약블 2024. 1. 22.
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오늘은 작약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위 건강에 관심이 많으신 분들은 작약추출물이 좋다는 이야기를 많이 들어봤을텐데 작약의 어떤 성분이 위건강에 좋은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작약의 기원, 작약의 성상, 작약의 성분, 작약의 약리작용과 효능, 작약의 금기사항과 부작용 순서대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01 작약의 기원


작약 Paeonia lactiflora Pall. 또는 기타 동속 근연식물 (작약과 Paeconiaceae)의 뿌리이다. 중국에서는 천작약 Paeonia veitchii Lynch의 뿌리도 쓴다. 건조한 것은 정량할 때 albiflorin 및 paeoniflorin 2.3% 이상을 함유한다.


02 작약의 성상


원주상이며 때로 구부러져 있고 길이 5 ~ 20 cm, 지름 10 ~ 25 mm이며 큰 뿌리는 세로로 쪼개져 있다. 바깥면은 흰색 또는 갈색을 띠고 깨끗하나 세로 주름이 뚜렷하며 때로 주름 또는 잔뿌리의 잘린 자국이 오목하게 패어 있고 가로로 껍질눈이 뚜렷하며 뿌리 상부에는 줄기 자국이나 덜 벗겨진 갈색의 껍질이 간혹 남아있다. 질은 단단하며 쉽게 꺾어지지 않는다. 횡단면을 확대경으로 볼 때 입상이고 매우 치밀하며 형성층이 뚜렷하고 유백색 또는 갈색이며 방사상으로 된 수선과 형성층이 보인다. 특유한 냄새 가 있고 맛은 처음에는 약간 달고 후에 떫으며 약간 쓰다.


03 작약의 성분

Monoterpene glycoside| benzoate 와 그 genin

paeoniflorin (benzoic acid와 결합하고 있는 변형 monoterpene의 배당체), oxypaeoniflorin,
benzoylpaeoniflorin, benzoyloxypaeoniflorin, albiflorin, paconiflorigenone, paconilactone, 4'-O-benzoylpaeoniflorin, 4-O-galloylalbiflorin 등

Acidic polysaccharide

peonan PA, peonan SB

Tannin

gallotannin류, galloylpaconiflorin

Phenol성 화합물

paeonol

기타

benzoic acid, pinen-10-yl vicianoside, oleanolic acid, hederagenin, 11α-12α-epoxy-3β,
23-dihydroxyolean-28,13β-olide, 30-norhederagenin, betulinic acid, kaempferol-3,7-di-O-β-D-glucoside 등


04 작약의 효능과 약리작용

(1) 진경• 진정작용

• paeoniflorin에는 진정, 진경, 항콜린성, 항염증, 스트레스성 궤양억제, 혈압강하, 혈관확장, 평활근 이완, 세포 내 Ca2+ 감소, 접촉성 과민반응억제 작용 등이 있다. paeoniflorin은 장내세균에 의하여 7-R-paeonimetaboline 1와 7-S-paeonimetaboline 1로 대사되는데 이 두 대사산물이 중추성 항경련작용을 나타내므로 paeoniforin의 진경효과는 대사산물에 의한 것이라고 보고 있다.
• paeoniflorigenone은 대퇴근의 신경근접합부를 차단함으로써 항경련작용을 나타낸다. 횡경막의 신 경근접합부에 대해서는 반대로 간접적으로 자극한다(in vitro, frog, mouse).
• 추출물은 진정 작용이 있다.
• 추출물 및 배당체분획은 항우울작용이 있다.

(2) 혈소판응집억제• 구어혈작용

• 혈액의 응고를 억제하고 어혈을 제거한다. 즉, 70% EtOH 추출물은 혈소판과 fibrinogen의 양을 줄이고, prothrombin 작용시간을 늘리며 ADP 농도를 증가시키는 등의 혈전증개선작용을 나타낸다 (in vitro).

(3) 순환계에 대한 작용

• paeoniflorin은 중추성 adenosine A1 수용체를 활성화시켜 guanethidine에 의해 상승한 혈압을 정상으로 낮춘다 (in vivo, rat).
• 추출물은 고지방식으로 hypercholesterolemia을 유도한 실험동물 (rat)의 혈관내피세포를 완화하고, 적혈구의 superoxide dismutase활성을 증가시킨다.
• 추출물은 혈관내피세포를 통하여 대동맥의 혈관을 확장시키며, 그 활성 성분은 gallotannin이다 (in
vitro, isolated rat aorta).
• 에탄올 추출물은 Ca2+ 채널 조절을 통하여 혈관이완 작용이 있다.

(4) 항암작용

• 추출물은 caspase-3가 관여하는 일련의 과정을 통하여 암세포주의 세포사멸을 유도한다 (in vi
tro).
• 물추출물은 p53이 관여하는 경로와는 다른 경로를 봉하여 HepG2와 Hep3B와 같은 간암세포들의 세포괴사를 유도한다 (in vitro).
• galloylpaeoniflorin 1,2,3,4,6-penta-O-galloy1-ß-D-glucose, paeonol은phenylhydroquinone으로 유도한 산화적 DNA 손상을 억제한다(in vitro).

(5) 항염증작용

• 추출물은 COX의 활성을 나타내는 12-(S)-HETE의 생성을 억제한다(in vitro).
• paeoniflorin은 윤활막세포(synoviocyte)의 염증반응을 억제한다(in vitro).

(6) 기타

면역증강작용 : acidic polysaccharide인 peonan PA과 SB는 세망내피계(reticuloendothelial system)를 활성화시키고 항보체활성 (anti-complementary activity)를 가지고 있다(in vivo, carbon clearance test).
혈당강하작용 : paeoniflorin과 8-debenzoylpaeoniflorin은 streptozotocin으로 유도한 인슐린의존성당뇨에 의한 혈당상승을 낮춘다. 혈장내의 인슐린의 농도는 변화시키지 않고 혈당의 이용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보인다 (in vivo).
항알러지작용: benzoylpaeoniflorin, benzoyloxypaeoniflorin 등의 monoterpene 배당체 분획은 비만 세포에서의 histamine 유리를 억제한다.
• 물추출물은 장내용물의 수송을 촉진하고, 위장운동을 항진시킨다.
• paeonol에는 충수돌기염에 대한 항균작용, 중추억제작용, 항염증, 위액분비억제, 진경작용 등이 있다.
• paeonol에는 기억력 개선 효능이 있다(in vivo, mouse).



05 작약 부작용


복통과 설사가 있는 경우는 주의하여야 한다.





참고문헌
1) Kobayashi M et al. (1990) Yakugaku Zasshi 110: 964-968
2) Kimura M et al. (1984) Jpn. J. Pharmacol. 35: 61-66
3) Cheng JT et al. (1999) Clin. Exp. Pharmacol.
4) Goto H et al. (1999) Phytother. Res. 13: 526-528
5) Goto H et al. (1996) Planta Med. 62: 436-439
6) Nishida S et al. (2003) Am. J. Chin. Med. 31: 551-562
7) Lee SM et al. (2002) Life Sci. 7 1: 2267-2277
8) Okubo T et al. (2000) Biol. Pharm. Bull. 23: 199-203
9) Tomoda M et al. (1994) Biol. Pharm. Bull. 17: 1161-1164
10) Tomoda M et al. (1993) Biol. Pharm. Bull. 16: 1207-1210
11) Prieto JM et al. (2003) J. Pharm. Phatmacol. 55: 1275-1282
12) Hsu FL et al. (1997) Planta Med. 63: 323-325
13) Jin SN et al. (2012) J. Ethnopharmacol. 142: 188-193
14) Mao QQ et al. (2012) Pharm. Biol. 50: 72-77
15) Chang Y et al. (2011) J. 137: 1275-1282
16) Zhong SZ et al. (2009) J. Neurol. Sci. 277: 58-64
17) Mao QQ et al. (2008) J. Ethnopharmacol. 119: 272-275
18) Mao Q et al. (2008) Phytother. Res. 22: 1496-1499

728x9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