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효능

숙지황 효능 :: 숙지황 성분ㅣ숙지황 약리작용ㅣ숙지황 부작용ㅣ건지황ㅣ생지황

by 약블 2024. 1. 27.
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오늘은 숙지황에 대해 알아보려고 합니다.
앞서 지황에 대한 성분과 약리작용, 효능 등을 알아보았는데 지황은 생것을 생지황(生地黃), 말린 것을 건지황(乾地黃), 생지황을 쪄서 말린 것을 숙지황(熟地黃)이라고 부릅니다.
그 중에서 숙지황에 대한 효능을 알아보겠습니다.


숙지황의 기원, 숙지황의 성상, 숙지황의 성분, 숙지황의 효능과 약리작용, 숙지황 부작용과 주의사항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01 숙지황의 기원


지황 R. glutinosa Liboschitz et Studel (현삼과 Scrophulariaceae)의 뿌리를 포제가공한 것이다. 건조한 것을 정량할 때 5-hydroxymethyl-2-furaldehyde 0.1% 이상을 함유한다.


02 숙지황의 성상


잘 정제된 지황을 보통 술, 사인, 진피를 보조재료로 하여 속과 겉이 검게 되고 윤기가 흐르며 질이 부드럽고 연하며 점조하게 될 때까지 찌고 햇볕에 말리는 것을 반복한다. 불규칙한 덩어리이고, 크기는 고르지 않다. 바깥면은 검고 광택이 나며 점성이 크다. 질은 유연하고 질겨서 잘 잘라지지 않으며, 잘린 면은 검은색이고 광택이 있다. 약간 특유한 냄새가 있고 맛은 달다.



03 숙지황의 성분

-지황의 성분으로 작성했습니다.

Iridoid

catalpol, leonuride, aucubin, melittoside, rehmannioside A ~ D, geniposide, jioglutoside A, B, ajugoside, ajugol, 8-epiloganic acid, 6-O-E-feruloyl ajugol, 6-O-Z-feruloyl ajugol, rehmaglutosides 등


Norcarotenoid

trihydroxy-ß-ionone, sec-hydroxyaeginetic acid, dihydroxy-ß-ionone, aeginetic acid 등


Sesquiterpene

1-(4-methyl-2-furanyl)-2-(5-methyl-2-furanyl)-2-(5-methyl-2-ethenyl-2-tetrahydrofuranyl)-propan-1-one


Caffeoyl glycoside

acteoside, forsythiaside, deshamnosylacteoside 등


당류

slachyose, raffinose, Sucrose 등


기타

mannitol, amino acid류


탄수화물의 조성에 있어서 건지황과 숙지황의 경우, 생지황에 가장 많이 들어 있는 Stachyose의 양이 상대적으로 적은 반면에, manninotriose의 양이 상대적으로 많다. 또한 iridoid 배당체와 catapol 의 양이 상대적으로 적다.



04 숙지황의 효능과 약리작용


(1) 말초혈관 순환장애의 개선

• 숙지황의 50% EtOH 추출물은 혈액의 유동학적인 물성을 개선시킴으로써 여러 가지 말초혈관 순환장애를 개선한다.
• 숙지황의 50% EtOH 추출물은 적혈구의 탄력성을 개선하며 polybrene으로 유도한 적혈구의 응집 반응을 억제한다. 또한 숙지황은 섬유소의 분해를 촉진함으로써 혈액의 유동성을 개선시킨다. 건지황과 생지황의 경우에는 이러한 숙지황의 약리학적 효과가 나타나지 않는다.

(2) 항알러지작용

• 숙지황의 물추출물은 histamine 수치를 낮추어 전신성 알러지반응 (compound 48/80)과 피부과민 반응 [anti-dinitrophenyl (DNP) IgE]을 억제한다(in vivo, rat).

(3) 강심•이뇨작용

• catalpol에는 이뇨작용과 완하작용이 있다.

(4) 골형성촉진작용

• 생지황을 알코올로 세 번 찐 숙지황의 물추출물은 골아세포 (osteoblast)의 증식과 활성을 강화하는 반면에 파골세포(osteoclast)의 생성과 활성을 억제한다.

(5) 기타

• 숙지황의 다당류는 항피로 효능을 나타낸다(in Vivo, mouse, p.o.).


05 숙지황의 부작용 및 주의사항


비허로 인해 식사량이 적거나 복부가 팽만하며 변이 묽은 사람은 주의해야 한다.



참고문헌
1) Kubo M et al. (1994) Biol. Pharm. Bull. 17: 1282-1286
2) Kubo M et al. (1994) Yakugaku Zasshi 116: 158-168
3) Kim H et al. (1998) Int. J. Immunopharmacol. 20: 231-240
4) Oha K-O et al. (2003) Clin. Chim. Acta 334: 185-195
5) Tan W et al. (2012) Int. J. Biol. Macromol. 50: 59-62




728x9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