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갈근
안녕하세요~
오늘은 갈근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저는 감기에 걸리면 항상 갈근탕을 먹었는데 따뜻한 갈근탕을 먹으면 감기가 좋아집니다.
갈근의 어떤 성분이 감기에 좋은 효과를 보이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갈근의 기원, 갈근의 성상, 갈근의 성분, 갈근의 효능과 약리작용, 갈근의 금기사항과 부작용 순서대로 알아보겠습니다.
01 기원
칡 Pueraria lobata (Willd.) Ohwi (= P. thunbergiana Benth.) (콩과 Leguminosae)의 뿌리로서 그대로 또는 주피를 제거한 것이다. 중국에서도 P. lobaia를 사용하며 감갈등 P. thomsonii Benth.의 뿌리를 분갈로서 쓴다. 건조한 것은 정량할 때 puerarin 2.0% 이상 및 daidzin 0.3% 이상을 함유한다.
02 성상
직사각형의 두꺼운 조각 또는 세로로 자른 작은 덩어리이다. 앞의 것은 길이 20 ~ 30 cm, 두께 약 1 cm이며, 뒤의 것은 크기가 일정하지 않은 육면체에 가깝다. 바깥면은 회백색 ~ 연한 갈색이고 세로주름이 있으며 꺼칠꺼칠하다. 세로로 꺾기 쉽다. 확대경으로 볼 때, 횡단면은 섬유성이고 형성층이 특수하게 발육하여 생긴 동심성 윤층 또는 그 일부를 볼 수 있다. 사부는 연한 회황색이고, 목부에는 많은 도관이 작은 점으로 보인다. 수선은 연한 회황색이고 약간 함몰되어 있다. 횡단면을 현미경으로 볼 때 피부는 대부분 제거되어 있다. 목부는 수선이 3 ~ 8 열의 세포로 되어 있고 도관은 여러 개가 무리를 이루어 목부 섬유속과 번갈아서 배열하고 있다. 섬유 묶음은 매우 많아 보통 수 십 묶음이 고리모양으로 배열되어 있다. 목부의 유세포에는 옥살산칼슘 단정과 소량의 전분립이 들어 있다. 냄새가 약간 있고 맛은 약간 달다.
03 성분
Isoflavonoid : puerarin, daidzein, daidzin, genistein, formononetin, puerarol, kakkonein, moroestrol, tectorigenin, tectoridin, irisolidone, daidzein 4',7-diglucoside, puerarin 7-xyloside, 4‘,6"-di-O-acetylpuerarin 등
Triterpenoid : soyasaponin I, soyasapogenol A, kudzusaponin B, kudzusaponin SA3, kudzusapogenol B, kudzusapogenol B methylester 등
기타 : starch 10-15%
04 효능 / 약리작용
(1) 해열작용, 진경작용
• 물현탁액은 해열작용을 나타내고 (in vivo, p.o.), 물 또는 MeOH 추출물에는 진경작용이 있으며 이 작용은 daidzein (papaverine의 1/3 정도)의 함량에 비례한다(in Vivo).
• daidzin, daidzein, formononetin, genistein은 cAMP phosphodiesterase의 활성을 억제한다.
(2) 순환계에 대한 작용
• flavonoid분획은 뇌와 심장으로 가는 혈류량을 증가시키고 심근의 산소소비량을 줄여 준다. 임상적으로 갈근의 isoflavonoid는 편두통, 협심증과 고혈압, 심근경색에 효과가 있다.
• EtOH 추출물에는 완화한 혈압강하작용이 있고 동시에 noradrenaline에 의한 승압반응 및 methacholine에 의한 강압반응을 약화시킨다. 또한 β-수용체 차단제로서의 작용도 있다(in vivo).
(3) 혈당강하작용
• puerarin은 인슐린이 결핍된 C2C12 세포의 α1A- 수용체를 활성화시켜 포도당의 흡수를 증가시킨다(in viro).
• streptozotocin으로 당뇨를 유발한 흰 쥐에 puerarin을 정맥주사하면 용량의존적으로 혈당이 감소한다. 또한 혈액 내 포도당의 세포 내로의 흡수가 용량의존적으로 증가하며, 3일 동안 투여하면 근육세포에서의 GLUT4 mRNA와 단백질의 발현양이 증가한다(in vivo).
(4) 기타
• 간세포보호작용 : 조 saponin은 antiserum (immunological injury)에 의한 GPT의 상승을 억제한다 (in vitro, primary culture of rat hepatocytes, 90 ug/ml).
• 항혈전작용, 항알러지작용 : 장내 세균에 의하여 만들어지는 daidzin과 puerarin의 대사체인 daidzein은 ADP와 collagen으로 유도한 혈소판응집을 억제하고, pulmonary thrombosis에 의한 치사율을 낮춘다(in vivo, mouse, i.p., p.o.). 또한 β-hexosaminidase의 유리 (RBL 2H3 cell)와 피동적 피부 과민반응을 억제한다.
• 알코올섭취억제작용 : daidzin, daidzein, puerarin은 알코올에 중독된 흰 쥐의 알코올 선호도를 줄인다. 또한, daidzin은 혈중알코올수치를 낮추며, 알코올 섭취로 인한 수면유도시간을 줄인다.
•항세균작용 : irisolidone이 Helicobacter pylori의 성장을 억제한다(in viro, MIC:12.5 ~ 25 µg/ml).
• 항산화작용 : hydroxyl과 superoxide 라디칼 소거 활성을 통해 항산화작용이 일어난다 (in vivo).
• 피로억제작용 : blood lactic acid (BLA)의 증가를 억제하고, serum urea nitrogen (BUN)과 malondialdehyde (MDA)의 양을 감소시킨다. 또한 superoxide dismutase (SOD)와 glutathione peroxidase (GPX)의 활성의 증가를 촉진시킨다 (in vivo).
• 피부보습작용 : NHEF (normal human epidermal keratinocyte) 세포에서 피부보습에 관여하는 hyaluronic acid의 양을 증가시킨다 (in vitro).
• 골보호작용 : 난소가 절제된 모델에 갈근을 투여하였을 때 소주골(trabecular bone)의 밀도와 미네랄양이 증가된다 (in vivo, rat).
• 암세포독성 : isoflavones은 유방암 세포주의 세포증식을 억제시키며, 세포사멸을 유도한다(in vitro).
참고>
갈근탕 : 목과 등허리가 당기고 오슬오슬 춥고, 땀이 나지 않고 바람기가 싫은 감기 증세가 나타나며, 추위를 싫어하고 열이 나며 충혈 증세가 있고, 땀이 나지 않고 몸과 등이 뻣뻣한 감기에, 또한 눈 ·귀 ·코에 염증이 있을 때나 두드러기 ·천식 등의 증세에 처방한다.
갈근 4g, 마황(麻黃)거절 2.8g, 계지(桂枝) ·작약(芍藥) ·감초 각 2g, 생강 3쪽, 대추 2개를 달여 마신다.
[네이버 지식백과] 갈근탕 [葛根湯] (두산백과 두피디아, 두산백과)
05 부작용
장기간 복용에도 비교적 안전하며, 하루에 50 ~ 100g을 복용한 경우에도 부작용이 보고된 바 없다.
참고문헌
1) Hsu HH et a!. (2002) P1anta Med. 68: 999-1003
2) Hsu FL et a!. (2003) 1. Nat. Prod. 66: 788-792
3) Choo MK et al. (2002) Pharm. Bull. 25: 1328-1332
4) Lin RC et a!. (1996) Alcohol Clin. Exp. Res. 20: 659-663
5) Bae EA et a!. (2001) Planta Med. 67: 161-163
6) Xiaoming W et al. (2012) AJOL 9(2): 221-227
7) Wen KC et al. (2010) Am J Chin Med. 38(1): 143-55
8) Park JA et al. (2011) 1. Nat. Prod. 17(3): 189-197
9) y.-1. Lin et al. (2009) Biochem Biophys Res Commun. 378(4): 683-8
반응형
'한약재효능'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삼의 효능(성분)과 부작용 등 총정리 (0) | 2024.01.14 |
---|---|
감초의 효능(성분)과 부작용 등 총정리 (0) | 2024.01.13 |
산초의 효능(성분)과 부작용 등 총정리 (0) | 2024.01.11 |
후추의 효능(성분)과 부작용 등 총정리 (0) | 2024.01.10 |
치자의 효능(성분)과 부작용 등 총정리 (0) | 2024.01.0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