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약재효능

고추의 효능(성분)과 부작용 등 총정리

by 약블 2024. 1. 6.
반응형



출처 : 미리캔버스

 

고추


안녕하세요~
오늘은 고추의 효능과 부작용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고추는 우리 식탁에 매일 올라오는 음식 중에 하나죠~
김치처럼 고춧가루가 들어간 음식이 아주 많고 고추장이 들어간 음식도 정말 많아서 매일 먹는 음식이에요!

출처 : 미리캔버스


그럼 지금부터 고추의 기원, 성상, 성분, 약리, 금기사항 순서대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01 기원


고추 Cpsicum annuun L. 또는 그 변종(가지과 Solanaceae)의 열매이다.


02 성상


긴 원뿔모양 ~ 방추형이고 때로 구부러져 있으며, 길이 약 3~ 10 cm, 너비 약 0.8 cm이다. 바깥면은 어두운 붉은색 ~ 어두운 황적색이고 광택이 있으며 보통 꽃받침과 열매자루가 붙어 있다. 속은 비어있 고 2개의 방으로 나누어졌으며 각 방에는 씨가 많이 들어있다. 씨는 거의 원형이고 납작하며 연한 황적색이고 지름 약 5 mm이다. 특유한 냄새가 있고 맛은 매우 맵다.

03 성분


신미성분 2~ 3% : capsaicinoid (vanillylamine의 acyl 유도체), capsaicin (70%), dihydrocapsaicin (20%), nor-dihydrocapsaicin (7%) 등
Capsinoids : capsiate, dihydrocapsiate, nor-dihydrocapsiate
Carotenoid 약 1% : capsanthin (35%), ß-carotene (12%), violaxanthin (10%), capsorubin (6%) 등
기타 : capsicoside, 비타민 C 등

04 약리작용 / 효능

 

(1) 소화기관에 대한 작용

• 고추를 3~ 5% 첨가한 사료로 실험동물을 사육하면 소화기관이 적당히 자극을 받아 소화액의 분비가 항진되어 소화기능이 왕성해지므로 발육상태가 좋아진다 (in vivo, rat).
• 사람 또는 실험 동물의 적출장기에 대한 실험에서 틴크제 또는 capsaicin은 소화관 운동을 항진시키고, 소량에서는 타액, 위산 분비를 촉진하지만 다량에서는 반대로 억제한다.


(2) 발적작용, 말초혈관수축·확장작용

• 틴크제 또는 capsaicin 용액을 사람의 피부나 점막 또는 개의 귀에 바르면 그 국소는 혈관이 확장
되어 충혈된다. 틴크제에는 혈관수축작용이 있으나 소량에서는 확장작용을 나타낸다.


(3) capsaicin의 항암작용

• capsaicin은 백혈병세포주의 성장을 억제하며 (in vitro), 세포막의 NADH oxidase를 억제함으로써 흑색종 세포주의 성장을 억제한다 (in vitro).
• capsaicin은 TPA로 유도한 NFKB의 활성화를 억제한다(in vitro).
• capsaicin은 Bcl-2의 발현을 줄이고 caspase-3을 활성화함으로써 간암세포의 세포사멸을 촉진한다 (in vitro). 또한 신경교아세포종 세포의 세포사멸을 유도한다(in vitro).
• capsaicin을 생쥐의 등부위의 상피세포에 바르면 phorbol ester에 의해 활성화되는 NFKB/Rel과
AP-1 transcription factor의 활성화가 억제된다 (in vivo, 피부암발생억제작용).
• capsaicin은 생쥐의 benzo(a)pyrene으로 유도된 폐암을 억제한다(in vivo).
• capsaicin은 FaDu human pharyngeal squamous carcinoma cells (FaDu)의 세포사멸을 유도한다 (in vitro).
• capsaicin이 발암물질이라는 의견도 있지만 최근의 연구들은 오히려 항암• 암예방효과를 나타낸다 는 의견을 뒷받침하고 있다.


(4) 항당뇨작용

• EtOH 추출물은 PPAR-c와 AMPK를 활성화 시켜 항당뇨작용을 한다(in vitro).
• 고추의 capsiate는 capsaicin보다 당뇨를 유발한 rat에서 인슐린 감수성을 높여 glucose의 대사가 향상된다 (in vivo, rat).


(5) 항비만작용

• capsaicin은 비만모델 rat에서 glycerol-3-phosphate dehydrogenase (GPDH)를 억제하고 uncoupling protein 2 mRNA (UCP2)의 발현을 증가시켜 체중감소 효과를 보인다(in vivo, rat).
• capsaicin은 부신수질의 catecholamine 분비를 증가시켜 산열 (thermogenesis)이 늘어나 체중감소효과를 보인다 (in vivo, rat).


(6) 기타

• capsaicin의 진통· 진양 (가려움증에 효과)• 수렴• 항염증작용이 안정되어 실제 임상에서 capsaicin 은 당뇨병으로 인한 신경병증이나 대상포진에 의한 신경통, 류마치스성관절염, 골관절염에 수반하는 통증의 완화에 처방되고 있다.
• capsaicin의 수성 크림을 바르면 피부 내로 투여한 히스타민이나 substance P 등에 의한 발적은 억제되지만 구진에는 효과가 없다.
• capsaicin 용액을 코에 분무하면 부비동에 생긴 폴립의 크기가 줄어든다.
• capsaicin은 LPS로 자극을 준 복강 대식세포에 있어서 IKBa의 분해를 억제함으로써 항염증작용을 나타낸다 (in vitro).
• capsaicin은 TRPV1 ligand로 osteoblast에서 prostaglandin E의 생성을 막아 뼈 흡수를 막고 LPS로 인한 염증성 뼈 흡수도 막는다(in vitro, in vivo).




05 부작용 / 금기사항


아주 낮은 농도에서도 점막을 자극하므로 상처 난 부위나 눈 주위에는 사용하지 않는다. 외용 시에도 이틀이상 사용하지 않는다. 드물게 두드러기와 같은 과민반응이 일어날 수 있다.
음허화왕(체내에 음액이 과도하게 소모되어 나타나는 내열. 밤중에 열이 나고, 손과 발이 뜨겁고 식은땀이 나며, 맥이 가늘면서 빠른 증상)의 증상이 있거나 기침, 안질환이 있는 사람은 복용을 금한다.



참고문헌
Carpenter S et al. (1981) Brit. J. Pharmacol. 73: 755-758 Molnar J (1965) Arzneimittelforschung. 15: 718-727 Zhang J et al. (2003) Leuk. Res. 27: 275-283
Morre DJ et al. (1996) Eur. J. Cancer. 32A: 1995-2003 Han SS et al. (2002) Arch. Pharm. Res. 25 : 475-479 Jung MY et al. (2001) Cancer Lett. 165: 139-145
Jung MY et al. (2001) Cancer Lett. 165: 139-145 Han SS et al. (2001) Cancer Lett. 164: 119-126
Park KK et al. (1998) Anticancer Res. 18: 4201-4205 Park KK, Surh YJ (1997) Cancer Lett. 114: 183-184 Toth B, Gannett P (1992) ln Vivo 6: 59-63
Surh YJ, SS (1 996) Food Chem. Toxicol. 34:313 -316 Surh YJ, Lee SS (1995) Life Sci. 56: 1845-1855
Yang HJ et al. (2012) J. Funct. Food 4: 552-558
Kwon DY et al. (2012) J. Nutr. Biochem. 23: 1552-1558 Ann JY et al. (2011) J. Food Sci. Nutr. 16: 210-216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Joo n et al. (2010) J. Proteome Res . 9: 2977-298 7
Anand P et al. (1983) Brit. J. Pharmacol. 78: 665
Baudoin T et al. (2000) Acta Otolaryngol. 120: 307-311
Kim CS et al. (2003) Cell Signal 15: 299-306
Anandakumar P et al. (2012) Inflam. Res. 61: 1169-1175
Le Thanh-Do et al. (2012) Yonsei Medical Journal 53 : 834-841 Kobayashi Megumi et al. (2012) ISRN Pharmacology : 2090-5165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