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효능

오미자 효능 :: 오미자차 효능ㅣ오미자 약리작용ㅣ금기사항ㅣ부작용

by 약블 2024. 1. 4.
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오늘은 오미자에 대해 알아보려고 합니다.
이 오미자는 건오미자로 과자나 절편등에 올려 먹거나 오미자차, 오미자원액 등으로 간편하게 먹기도 하고 술로 담가 먹기도 하는데요~
어떤 효능이 있는지 살펴보겠습니다!
 

 
오미자는 단맛, 쓴맛, 신맛, 짠맛, 매운맛의 다섯가지 맛을 느낄 수 있어서 오미자라고 불리는데 그 가운데에서도 신맛이 가장 강합니다.
 

 

01 오미자의 기원

 
오미자 Schisandra chinensis Baillon (오미자과 Schisandraceae) 의 잘 익은 열매이다.
 

 

02 오미자의 성상


고르지 않은 구형 또는 납작 한 구형이며 지름은 약 6 mm이다. 바깥면은 어두운 붉은색에서 흑갈색을 띠며 주름이 있고 때로는 흰 가루 가 묻어 있다. 과육은 유연 하고 씨는 1~ 2 개로 콩팥 모양이고, 길이는 2~ 5 mm이다. 씨의 바깥면은 광택이 있는 황갈색에서 어두운 적갈색이며 등 쪽에는 봉선이 뚜렷하다. 냄새가 거의 없으며 맛은 처음에 시고 후에 떫으면서 쓰다.
 

 
 

03 오미자의 성분

 
Lignan : schisandrin A ~ C, schisandrol A, B (주성분), schisantherin A, B, D, isoschisandrin, gomisin A ~ H, J, K1-3, L1-2, M1-2, N, O, S, T, angeloylgomisin H, O, P, Q, angeloylisogomisin O, benzoylgomisin H, benzoylisogomisin O, tigloylgomisin H, P, epigomin O, deoxygomisin A, pregonmisin, wuweizisu A ~ C, wuweizichun A, B, schisanhenol 등
 
정유 : citral, α-, β-chamigrene,  β-chamigrenal

기타: 유기산인 citric acid, malic acid, tartaric acid와 비타민 C, 지방산 등
 
참고) 오미자 Lignan
schisandrin ( = schisandrol A = wuweizi alcohol A = wuweizichun A),
gomisin A (= schisandrol B = wuweizi alcohol B = wuweizichun B),
gomisin B (= schisantherin B = schizander B = wuweizi ester B),
gomisin C (= schisantherin A = schizander A = wuweizi ester A),
gomisin H ( = norschizandria), angeloy|gomisin P ( = schisantherin C)
 
 

 

04 오미자의 약리작용 / 효능

 

(1) 간세포보호작용

• EtOH 추출물은 CCl4 acetaminophen으로 유도한 SGPT의 증가를 억제한다(in vivo, moust, rat). lignan 분회은 CCl4에 의한 간독성으로터 간세포를 보호해 주며( α-tocopherol보다 강력). 이러한 작용은 lignan 분회이 간의 glutathione S-transferase계의 활성을 높여주고 (in vivo, mouse), gomisin A가 실험적 간암발생과정 중에 증가하는 glutathione S-transferase placental form (GST-P)
Positive foci의 수와 크기를 줄여주는 현상과 일치한다( in vivo, rat).
• gomisin A는 CCl에 의하여 증가되는 혈청 중의 GOT와 GPT, lactate dehydrogenase, total bilirubin과 total cholesterol의 활성과 양을 감소시킨다 (in vivo, mouse). wuweizisu A, B, C와 wuweizichun A, B도 SGPT의 수치를 낮춘다.
• gomisin A는 실험적 급성간기능부전현상을 예방하고(in vivo), 간기능을 활성화시키며, 염색체이상 (배수성)을 정상화시킴으로써 3'-MeDAB에 의한 간암발생을 억제한다 (in vivo, rat).
• CCl4에 의한 간독성에 대해서는 schisandrin C와 schisantherin D가 뛰어난 보호활성을 보이며, galactosamine에 의한 간독성에 대해서는 deoxygomisin A와 gomisin N, schisandrin C, schisantherin A, schisantherin D가 효과적이다. dibenzocyclooctane 골격의 methylenedioxy기가 이러한 간보호활성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지질과산화를 억제하고 liver microsomal monooxygenase 활성을 증가시킴으로써 간세포를 보호하는 것으로 보인다 (in vivo, rat hepatocyte).
•schisandrin A, B 및 schisanhenol 등은 간의 대사효소계를 활성화시키며, schisandrin B, C 및 schisandrol B는 CCl4에 의해 유도되는 지질과산화를 억제하며, CCl4와 liver microsome 내의 지질과의 결합을 억제한다 (in vivo, mouse).
• schisandrin B는 간암세포에서의 DNA, ATP 및 핵단백질 합성을 저해한다 (in vitro)
 

(2) 진해, 거담작용

 

(3) 중추신경흥분작용

• 물추출물은 호흡중추를 자극하여 호흡수와 호흡강도를 높인다(in vivo, rabbit, dog. i.v.)
• 척추반사를 증강시키며, 반사 역치를 낮춘다, 정신적 기능을 개선시키며, 작업능률을 향상시킨다.
• 추출물(수층)은 cycloheximide에 의한 기억력감퇴현상을 완화시킨다(in vivo, rat).
 

(4) 혈압강하작용

• 물추출물이나 알코올추출물은 혈관확장에 의한 혈압강하를 일으킨다 (in vivo, dog, cat, rabbit).
 

(5) 기타

• gomisin A는 hexobarbital에 의한 수면시간을 연장한다 (in vivo, mouse). 또한 위의 수축작용을 억제하며 스트레스로 인한 위궤양의 발생을 줄이며(in vivo, mouse, i.v.), 스트레스에 대한 저항성을 키워준다 (in vivo, dog, p.o.).
•pregomisin과 β-chamigrenal은 PAF의 활성에 길한다 (in vitro, IC50, 48 uM, 0.12 uM).
• 추출물은 임신여부에 상관없이 자궁에 주기적인 수축을 유도한다(in vivo, rabbit).
• gomisin C는 rat 호중구의 산화적파괴현상을 억제하고 (in vitro), gomisin 유도체, schisandrin 유도체 등은 ACAT (acyl-CoA: cholesterol acyltransferase) 활성을 억제한다(rat liver). gomisin N의 억제활성이 가장 크다 (IC50, 25µM).
• gomisin N과 schisandrol A를 비롯한 lignan류는 암세포에 고농도로 존재하는 단백질인 NFAT의 발현을 억제한다.
• gomisin A, C, D, G와 schisandrol B는 acetylcholinesterase 활성을 용량 의존적으로 억제한다.
•gomisin J는 Ser에서 endothelial NOS (eNOS)의 인산화를 증대시키고 순차적으로 NO 생성을 증가시켜 혈관이완작용을 나타낸다.
• 다당류 물 추출물은 복막 대식세포의 포식작용을 증가시키고 흉선 및 비장 지수도 중가시킨다 (in vivo, mouse).

 

 

05 오미자의 부작용 / 금기사항

 
위통이나 식욕저하와 같은 현상이 나타날 수 있고, 위궤양 환자는 금기사항이다.
 
 
 

참고문헌
1) Chiu PY et al. (2002) Planta Med. 68: 951-956
2) Miyamoto K et al. (1995) Biol. Pharm. Bull. 18: 1443-1445
3) Yan-yong C et al. (1976) Sei Sin. 19: 276-290
4) Mizoguchi Y et al. (1991) Planta Med. 57: 320-324
5) Nomura M et al. (1994) Anticancer Res. 14: 1967-1971
6) Wang YS (1983) Pharmacology and Applications of Chinese Materia Medica, People's Health Publisher, 177-186
7) Hsieh MT et al. (1999) Phytother. Res. 13: 256-257
8) Lee IS et al. (1997) Arch. Pharm. Res. 20: 633-636
9) Wang JP et al. (1994) Br. J. Pharmacol. 113: 945-953
10) Kwon BM et al. (1999) Planta Med. 65: 74-76
11) Lee IS et al. (2003) Planta Med. 69: 63-64
12) Hung et al. (2007) Arch. Pharm. Res. 30: 685-690
13) Park JY et al. (2012) Vascul. Pharmacol. 57: 124-130
14) Chen 1 et al. (2012) Int. J. Biol. Macromol. 50: 844-848

728x9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