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효능

복분자 효능 :: 복분자주 효능ㅣ복분자의 기원ㅣ약리작용ㅣ부작용

by 약블 2024. 1. 3.
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여러분 복분자 이름의 유래를 아시나요?

복분자를 먹고 요강을 엎었다고 복분자라는 이름이 붙여졌답니다~

 

오늘은 이 복분자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기본정보

복분자는 약간 빨간 빛을 띠는 것이 좋고 유사한 재료로는 산딸기가 있습니다. 산딸기는 익으면 붉은색을 띠고 복분자를 검은색을 띱니다. 흐르는 물에 여러번 씻어 드시면 되고 남은 복분자의 보관법으로는 깨끗이 씻어 밀봉하여 냉장보관을 하면 됩니다. 일반적인 섭취방법은 술로 담가 먹거나 엑기스로 먹는 것 입니다.

 

고운 빛깔의 기력 보강제 복분자! 아래에서 자세히 살펴볼게요 ^^

 

 

 

01 복분자 기원

 

복분자딸기 Rubus coreamus Miquel (장미과 Rosaceae)의 채 익지 않은 열매이다. 중국에서는 화동 복분자 R. chingii Hu의 열매를 사용한다.

 

 

02 복분자 성상

작은 핵과가 여러 개 모인 취합과이고 대체로 둥글며 지름은 7~ 9 mm이다. 바깥면은 연한 녹색, 회갈 색 또는 적갈색 ~ 적자색이며 그 주위에는 많은 소핵과가 붙어있으며 거의 털이 없다. 꽃받침은 5개로 갈라지며 갈색이고 아래에는 열매꼭지 자국이 있다. 개개의 소핵과는 잘 분리되고 구형에 가까우며 아래쪽은 비교적 평탄하고, 지름 약 4mm이다. 냄새가 거의 없으며 맛은 시고 달다.

 

 

03 복분자 성분

 

다량의 필수 아미노산과 비타민B2, 비타민E가 풍부하고 각종 유기산 (malic acid, citric acid, tataric acid) 과 triterpenoid glycoside (coreanoside F1, nigaichigoside F) 및 당류를 함유하고 있다. 참고로 중국산 R. chingi에는 fupenzic acid가 함유되어 있다고 한다.

 

 

04 복분자 약리작용 / 효능

 

강장•수렴•항이뇨작용

진통작용, 항염증작용 : nigaichigoside F (1,23-hydroxytormentic acid 28-O-glc)와 nigaichigoside F 의 aglycone인 23-hydroxytormentic acid에는 진통작용과 항염증작용이 있다. aglycone의 작용이 더 크다.

항염증작용 : EtOH추출물은 heme oxygenase-1 (HO-1)의 유도제로 작용함으로써 항염증작용을 한다 (in vitro).
항알러지작용 : 물추출물은 전신성 또는 국소성 과민성알러지반응 (anaphylaxis)을 억제한다(in vivo, mouse, in vitro).
항바이러스작용 : 물추출물은 약한 anti-HBV 활성을 나타낸다 (in viro).
남성생식계작용 : 물추출물은 cAMP-responsive element modulator (CREM)의 발현을 증가시켜 spermatogenesis를 향상시킨다(in vivo, rat).
• 중국산 복분자에는 여성호르몬유사작용이 있다.
• MeOH추출물은 조골세포(osteoblast)의 기능을 증가시키고 파골세포에 대해서는 억제 작용을 나타낸다 (in vivo, rat).

•청량, 지갈, 수렴, 강장효과가 있으며, 민간에서 당뇨병에 쓰인다.


 

 

05 복분자 금기사항 / 부작용

  : 소변이 조금 나오면서 맑지 못한 경우

 

 

 

 

 

 

참고문헌

1) Hattori M et al. (1988) Phytochemistry 27: 3975
2) Choi J et al. (2003) Biol. Pharm. Bull. 26: 1436-1441
3) Park JH et al. (2006) Biochem. Biophy. Res. Comm. 351: 146-152
4) Shin TY et al. (2002) Phytother. Res. 16: 508-513
5) Kim TG et al. (2001) Phytother. Res. 15: 718-720
6) Oh MS et al. (2007) J. Ethnopharmacol. 114: 463-467
7) Do SH et al. (2008) Menopause 15: 676-683

728x9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