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효능

고추의 효능 :: 고추의 약리작용ㅣ고추의 금기사항ㅣ부작용

by 약블 2024. 1. 6.
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오늘은 고추의 효능과 부작용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고추는 우리 식탁에 매일 올라오는 음식중에 하나죠~
김치처럼 고춧가루가 들어간 음식이 아주 많고 고추장이 들어간 음식도 정말 많아서 매일 먹는 음식이에요!


그럼 지금부터 고추의 기원, 고추의 성상, 고추의 성분, 고추의 약리, 고추의 금기사항 순서대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01 고추의 기원


고추 Cpsicum annuun L. 또는 그 변종(가지과 Solanaceae)의 열매이다.


02 고추의 성상


긴 원뿔모양 ~ 방추형이고 때로 구부러져 있으며, 길이 약 3~ 10 cm, 너비 약 0.8 cm이다. 바깥면은 어두운 붉은색 ~ 어두운 황적색이고 광택이 있으며 보통 꽃받침과 열매자루가 붙어 있다. 속은 비어있 고 2개의 방으로 나누어졌으며 각 방에는 씨가 많이 들어있다. 씨는 거의 원형이고 납작하며 연한 황적색이고 지름 약 5 mm이다. 특유한 냄새가 있고 맛은 매우 맵다.

03 고추의 성분


신미성분 2~ 3% : capsaicinoid (vanillylamine의 acyl 유도체), capsaicin (70%), dihydrocapsaicin (20%), nor-dihydrocapsaicin (7%) 등
Capsinoids : capsiate, dihydrocapsiate, nor-dihydrocapsiate
Carotenoid 약 1% : capsanthin (35%), ß-carotene (12%), violaxanthin (10%), capsorubin (6%) 등
기타 : capsicoside, 비타민 C 등

04 고추의 약리작용 / 효능

(1) 소화기관에 대한 작용

• 고추를 3~ 5% 첨가한 사료로 실험동물을 사육하면 소화기관이 적당히 자극을 받아 소화액의 분비가 항진되어 소화기능이 왕성해지므로 발육상태가 좋아진다 (in vivo, rat).
• 사람 또는 실험 동물의 적출장기에 대한 실험에서 틴크제 또는 capsaicin은 소화관 운동을 항진시키고, 소량에서는 타액, 위산 분비를 촉진하지만 다량에서는 반대로 억제한다.


(2) 발적작용, 말초혈관수축·확장작용

• 틴크제 또는 capsaicin 용액을 사람의 피부나 점막 또는 개의 귀에 바르면 그 국소는 혈관이 확장
되어 충혈된다. 틴크제에는 혈관수축작용이 있으나 소량에서는 확장작용을 나타낸다.


(3) capsaicin의 항암작용

• capsaicin은 백혈병세포주의 성장을 억제하며 (in vitro), 세포막의 NADH oxidase를 억제함으로 써 흑색종 세포주의 성장을 억제한다 (in vitro).
• capsaicin은 TPA로 유도한 NFKB의 활성화를 억제한다(in vitro).
• capsaicin은 Bcl-2의 발현을 줄이고 caspase-3를 활성화함으로써 간암세포의 세포사멸을 촉진한다 (in vitro). 또한 신경교아세포종 세포의 세포사멸을 유도한다(in vitro).
• capsaicin을 생쥐의 등부위의 상피세포에 바르면 phorbol ester에 의해 활성화되는 NFKB/Rel과
AP-1 transcription factor의 활성화가 억제된다 (in vivo, 피부암발생억제작용).
• capsaicin은 생쥐의 benzo(a)pyrene으로 유도된 폐암을 억제한다(in vivo).
• capsaicin은 FaDu human pharyngeal squamous carcinoma cells (FaDu)의 세포사멸을 유도한다 (in vitro).
• capsaicin이 발암물질이라는 의견도 있지만 최근의 연구들은 오히려 항암• 암예방효과를 나타낸다 는 의견을 뒷받침하고 있다.


(4) 항당뇨작용

• EtOH 추출물은 PPAR-c와 AMPK를 활성화 시켜 항당뇨작용을 한다(in vitro).
• 고추의 capsiate는 capsaicin보다 당뇨를 유발한 rat에서 인슐린 감수성을 높여 glucose의 대사가 향상된다 (in vivo, rat).


(5) 항비만작용

• capsaicin은 비만모델 rat에서 glycerol-3-phosphate dehydrogenase (GPDH)를 억제하고 uncoupling protein 2 mRNA (UCP2)의 발현을 증가시켜 체중감소 효과를 보인다(in vivo, rat).
• capsaicin은 부신수질의 catecholamine 분비를 증가시켜 산열 (thermogenesis)이 늘어나 체중감소효과를 보인다 (in vivo, rat).


(6) 기타

• capsaicin의 진통· 진양 (가려움증에 효과)• 수렴• 항염증작용이 안정되어 실제 임상에서 capsaicin 은 당뇨병으로 인한 신경병증이나 대상포진에 의한 신경통, 류마치스성관절염, 골관절염에 수반하는 통증의 완화에 처방되고 있다.
• capsaicin의 수성 크림을 바르면 피부 내로 투여한 히스타민이나 substance P 등에 의한 발적은 억제되지만 구진에는 효과가 없다.
• capsaicin 용액을 코에 분무하면 부비동에 생긴 폴립의 크기가 줄어든다.
• capsaicin은 LPS로 자극을 준 복강 대식세포에 있어서 IKBa의 분해를 억제함으로써 항염증작용을 나타낸다 (in vitro).
• capsaicin은 TRPV1 ligand로 osteoblast에서 prostaglandin E의 생성을 막아 뼈 흡수를 막고 LPS로 인한 염증성 뼈 흡수도 막는다(in vitro, in vivo).




05 고추의 부작용 / 금기사항


아주 낮은 농도에서도 점막을 자극하므로 상처 난 부위나 눈 주위에는 사용하지 않는다. 외용시에도 이틀이상 사용하지 않는다. 드물게 두드러기와 같은 과민반응이 일어날 수 있다.
음허화왕(체내에 음액이 과도하게 소모되어 나타나는 내열. 밤중에 열이 나고, 손과 발이 뜨겁고 식은땀이 나며, 맥이 가늘면서 빠른 증상)의 증상이 있거나 기침, 안질환이 있는 사람은 복용을 금한다.



참고문헌
Carpenter S et al. (1981) Brit. J. Pharmacol. 73: 755-758 Molnar J (1965) Arzneimittelforschung. 15: 718-727 Zhang J et al. (2003) Leuk. Res. 27: 275-283
Morre DJ et al. (1996) Eur. J. Cancer. 32A: 1995-2003 Han SS et al. (2002) Arch. Pharm. Res. 25 : 475-479 Jung MY et al. (2001) Cancer Lett. 165: 139-145
Jung MY et al. (2001) Cancer Lett. 165: 139-145 Han SS et al. (2001) Cancer Lett. 164: 119-126
Park KK et al. (1998) Anticancer Res. 18: 4201-4205 Park KK, Surh YJ (1997) Cancer Lett. 114: 183-184 Toth B, Gannett P (1992) ln Vivo 6: 59-63
Surh YJ, SS (1 996) Food Chem. Toxicol. 34:313 -316 Surh YJ, Lee SS (1995) Life Sci. 56: 1845-1855
Yang HJ et al. (2012) J. Funct. Food 4: 552-558
Kwon DY et al. (2012) J. Nutr. Biochem. 23: 1552-1558 Ann JY et al. (2011) J. Food Sci. Nutr. 16: 210-216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Joo n et al. (2010) J. Proteome Res . 9: 2977-298 7
Anand P et al. (1983) Brit. J. Pharmacol. 78: 665
Baudoin T et al. (2000) Acta Otolaryngol. 120: 307-311
Kim CS et al. (2003) Cell Signal 15: 299-306
Anandakumar P et al. (2012) Inflam. Res. 61: 1169-1175
Le Thanh-Do et al. (2012) Yonsei Medical Journal 53 : 834-841 Kobayashi Megumi et al. (2012) ISRN Pharmacology : 2090-5165

728x9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