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복분자
여러분 복분자 이름의 유래를 아시나요?
복분자를 먹고 요강을 엎었다고 복분자라는 이름이 붙여졌답니다~
오늘은 이 복분자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기본정보
복분자는 약간 빨간빛을 띠는 것이 좋고 유사한 재료로는 산딸기가 있습니다. 산딸기는 익으면 붉은색을 띠고 복분자를 검은색을 띱니다. 흐르는 물에 여러 번 씻어 드시면 되고 남은 복분자의 보관법으로는 깨끗이 씻어 밀봉하여 냉장보관을 하면 됩니다. 일반적인 섭취방법은 술로 담가 먹거나 진액으로 먹는 것입니다.
고운 빛깔의 기력 보강제 복분자! 아래에서 자세히 살펴볼게요 ^^
01 기원
복분자딸기 Rubus coreamus Miquel (장미과 Rosaceae)의 채 익지 않은 열매이다. 중국에서는 화동 복분자 R. chingii Hu의 열매를 사용한다.
02 성상
작은 핵과가 여러 개 모인 취합과 이고 대체로 둥글며 지름은 7~ 9 mm이다. 바깥면은 연한 녹색, 회갈색 또는 적갈색 ~ 적자색이며 그 주위에는 많은 소핵과가 붙어있으며 거의 털이 없다. 꽃받침은 5개로 갈라지며 갈색이고 아래에는 열매꼭지 자국이 있다. 개개의 소핵과는 잘 분리되고 구형에 가까우며 아래쪽은 비교적 평탄하고, 지름 약 4mm이다. 냄새가 거의 없으며 맛은 시고 달다.
03 성분
다량의 필수 아미노산과 비타민B2, 비타민E가 풍부하고 각종 유기산 (malic acid, citric acid, tataric acid)과 triterpenoid glycoside (coreanoside F1, nigaichigoside F) 및 당류를 함유하고 있다. 참고로 중국산 R. chingi에는 fupenzic acid가 함유되어 있다고 한다.
04 약리작용 / 효능
• 강장•수렴•항이뇨작용
• 진통작용, 항염증작용 : nigaichigoside F (1,23-hydroxytormentic acid 28-O-glc)와 nigaichigoside F의 aglycone인 23-hydroxytormentic acid에는 진통작용과 항염증작용이 있다. aglycone의 작용이 더 크다.
• 항염증작용 : EtOH추출물은 heme oxygenase-1 (HO-1)의 유도제로 작용함으로써 항염증작용을 한다 (in vitro).
• 항알레르기작용 : 물추출물은 전신성 또는 국소성 과민성알레르기반응 (anaphylaxis)을 억제한다(in vivo, mouse, in vitro).
• 항바이러스작용 : 물추출물은 약한 anti-HBV 활성을 나타낸다 (in viro).
• 남성생식계작용 : 물추출물은 cAMP-responsive element modulator (CREM)의 발현을 증가시켜 spermatogenesis를 향상한다(in vivo, rat).
• 중국산 복분자에는 여성호르몬유사작용이 있다.
• MeOH추출물은 조골세포(osteoblast)의 기능을 증가시키고 파골세포에 대해서는 억제 작용을 나타낸다 (in vivo, rat).
•청량, 지갈, 수렴, 강장효과가 있으며, 민간에서 당뇨병에 쓰인다.
05 금기사항 / 부작용
: 소변이 조금 나오면서 맑지 못한 경우
참고문헌
1) Hattori M et al. (1988) Phytochemistry 27: 3975
2) Choi J et al. (2003) Biol. Pharm. Bull. 26: 1436-1441
3) Park JH et al. (2006) Biochem. Biophy. Res. Comm. 351: 146-152
4) Shin TY et al. (2002) Phytother. Res. 16: 508-513
5) Kim TG et al. (2001) Phytother. Res. 15: 718-720
6) Oh MS et al. (2007) J. Ethnopharmacol. 114: 463-467
7) Do SH et al. (2008) Menopause 15: 676-683
반응형
'한약재효능'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마리아엉겅퀴(밀크씨슬)의 효능(성분)과 부작용 등 총정리 (1) | 2024.01.07 |
---|---|
고추의 효능(성분)과 부작용 등 총정리 (1) | 2024.01.06 |
구기자의 효능(성분)과 부작용 등 총정리 (0) | 2024.01.05 |
오미자의 효능(성분)과 부작용 등 총정리 (0) | 2024.01.04 |
대추의 효능(성분)과 부작용 등 총정리 (0) | 2024.01.03 |
댓글